쿠키와 세션이 등장하게된 배경
먼저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HTTP의 특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
HTTP의 특징
(1) Stateless (비상태성)
👉🏻 Stateless 프로토콜이란?
-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
-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,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.
(2) Connectionless (비연결성)
👉🏻 Connectionless 프로토콜이란?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(Request)을 했을 때, 그 요청에 맞는 응답(Response)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
- HTTP 1.1 버전에서 연결을 유지하고, 재활용 하는 기능이 Default로 추가되었다. (Keep-alive 값으로 변경가능)
⇒ 그러나, 실제로 우리는 데이터 유지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! : 정보가 유지되지 않으면, 매번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로그인을 다시 하거나, 상품을 선택했는데 구매 페이지에서 선택한 상품의 정보가 없거나 하는 등의 일이 발생할 수 있다.
Connectionless 와 Stateless 덕분에 server의 자원은 많이 절약되지만, 같은 사용자가 여러 번 요청한 것을 매번 새로운 사용자로 인식하기 때문에, 페이지가 바뀔 때마다 계속 로그인을 해야 한다거나 장바구니에 담은 상품이 사라지는 등 치명적인 부작용이 발생한다. 이런 부작용을 보완하여 server 가 client 를 식별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Cookie와 Session이다.
⇒ 따라서, Stateful한 경우를 대처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.
: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은 크게 상태 정보의 저장 위치이다. 쿠키는 '클라이언트'(=로컬=사용자 브라우저)에 저장되고, 세션은 '서버'에 저장하는데 추가적인 것은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.
쿠키
- 클라이언트(ex. 브라우저, 모바일 app 등)의 로컬에 저장되고, Http통신시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는 Key와 value로 구성된 작은 텍스트 데이터 파일을 말합니다.
-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,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,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. (도메인당 20개가 넘어가면 가장 적게 사용되는 것부터 삭제합니다.)
-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하기 위해 사용된다.
- Response Header에 Set-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다.
-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요청(Request)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합니다.
쿠키의 구성요소
아래의 key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이름 : 각각의 쿠키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이름
- 값 :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
- 유효시간 : 쿠키의 유지시간(지정가능)
- 도메인 :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
- 경로 :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
쿠키의 동작 방식
- 최초 통신에서는 쿠키 값이 없으므로, 일단 클라이언트는 Request를 한다.
-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보낸 Request Header에 쿠키가 없음을 판별, 쿠키 생성
- 통신 상태(UserID, Password, 조작상태, 방문횟수 등)를 저장한 쿠키를 Response header에 담아 Response한다.
-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가 받은 쿠키를 생성/보존한다.
- 두번째 연결부턴, HTTP Header에 쿠키를 실어서 서버에 Request 한다.
- 만약 서버에서 쿠키를 읽어 상태 정보를 변경해야 한다면 쿠키를 업데이트하여 변경된 쿠키가 담긴 reponse를 보낸다.
쿠키 사용 예시
- 방문 사이트에서 로그인 시, "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까?" → 쿠키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겠냐고 묻는겁니다.
- 쇼핑몰의 장바구니 기능
- 자동로그인 / 유지
- 팝업에서 "오늘 더 이상 이 창을 보지 않음" 체크
- 위시 리스트 저장
- 사용자 이전 스크롤링
- 뷰 설정 값 등등...
세션이란?
- 서버측에 저장, 관리되는 쿠키
-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상태 등의 주로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 시에 사용
-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
세션의 동작 방식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, 세션 ID를 발급받습니다.
- 클라이언트는 세션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합니다.
- 클라리언트는 해당 서버(Host)에 요청할 때, 이 쿠키의 세션 ID를 서버에 전달합니다.
-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 받아서 별다른 작업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판단, 클라이언트의 정보에 접근합니다.
-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.
세션의 동작 방식
- 각 클라이언트에게 고유 ID를 부여
- 세션 ID로 클라이언트를 구분해서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
- 로그인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 등이 주로 저장되며,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쿠키보다 탈취가 어려움 → 보안성이 비교적 높다.
-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되고 이로인해 서버에 부하를 주게되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
세션의 사용 예시
로그인 같이 보안상 중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
3. 쿠키와 세션의 비교
- 쿠키와 세션은 비슷한 역할을 하며, 동작원리도 비슷. 세션도 결국 쿠키를 사용하기 때문
-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. 쿠키는 서버의 자원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,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합니다.
- 보안 면에서 세션이 더 우수하며, 요청 속도는 쿠키가 세션보다 더 빠르다. 세션은 서버의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
- 보안,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기 때문에 변질되거나 request에서 스니핑 당할 우려가 있어서 보안에 취약하지만 세션은 쿠키를 이용해서 sessionid 만 저장하고 그것으로 구분해서 서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비교적 보안성이 좋다.
- 라이프 사이클, 쿠키도 만료시간이 있지만 파일로 저장되기 때문에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계속해서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다. 또한 만료기간을 넉넉하게 잡아두면 쿠키삭제를 할 때 까지 유지될 수도 있다.
- 반면에 세션도 만료시간을 정할 수 있지만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만료시간에 상관없이 삭제된다.
- 속도, 쿠키에 정보가 있기 때문에 서버에 요청시 속도가 빠르고 세션은 정보가 서버에 있기 때문에 처리가 요구되어 비교적 느린 속도를 낸다.
- 세션이 성능이 좋음에도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하기때문에 무분별하게 만들다보면 서버의 메모리가 감당할 수 없어질 수가 있고 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
참조 :
https://velog.io/@goblin820/HTTP-Cookie-vs-Session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, api, rest (0) | 2021.12.07 |
---|---|
세션 / 쿠키 인증 방식 (0) | 2021.12.02 |